공지사항
제목 | [공고] 2025년 국내전시회 개최지원 대상사업 선정계획 공고(신청마감) |
---|
본문
첨부파일
- 2025년 국내전시회 개최지원 대상사업 선정계획 공고문v3.hwpx (294.7K) 390회 다운로드 | DATE : 2025-01-20 15:23:51
- [붙임2] 사업 신청서 양식_유형별.zip (139.3K) 270회 다운로드 | DATE : 2025-01-20 15:23:51
- [붙임3] 전시회 국내업체 재참가율 관련 작성양식.xlsx (73.8K) 212회 다운로드 | DATE : 2025-01-20 15:23:51
- [필독] 사업 신청서류 안내.pdf (103.5K) 245회 다운로드 | DATE : 2025-01-20 15:23:51
- [참고] 전시부스 권고단가 업계 배포자료.pdf (225.2K) 221회 다운로드 | DATE : 2025-01-20 15:23:51
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-053호
전시산업발전법 제17조, 제21조 및 대외무역법 제4조의 규정에 따라 국제경쟁력을 갖춘 전시회의 육성과 해외바이어 유치를 통한 국내 중소기업의 수출 촉진을 위해 2025년 국내전시회 개최지원사업의 선정계획을 아래와 같이 공고합니다.
2025.1.20.
산업통상자원부장관

1. 사업개요
□ 사업목적
ㅇ 해외바이어가 찾아오는 국제 경쟁력을 갖춘 전시회의 육성을 통한 국내 전시산업의 발전
ㅇ 우수전시회 개최지원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에게 효과적인 수출마케팅 기회 제공
□ 지원대상
ㅇ ‘25년 수도권*에서 개최예정인 오프라인 또는 온ㆍ오프라인 융합전시회로서,
가장 최근 개최전시회가 한국전시산업진흥회의 ‘국제인증+’ , '국제인증' 또는 ‘인증’을 획득한 전시회**
* (수도권) 서울특별시, 경기도, 인천광역시
** 단, ④ 전략전시회의 경우는 인증을 획득하지 않은 최초 전시회도 신청 가능
□ 지원유형
□ 신청자격
ㅇ 전시산업발전법상 전시주최사업자
□ 신청요건
ㅇ 아래 신청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유형 중 성장 단계상 상위 유형으로 신청 가능하며 중복신청 불가
- 성장단계 : ③ 신규무역 → ② 유망→ ① 글로벌톱
<유형별 세부 신청요건>

* 합동·통합 전시회: 동일 기간·장소에서 공동의 명칭으로 개최하는 전시회(합동) 또는
2개 이상의 유사 품목 전시회를 하나로 융합하여 개최하는 전시회(통합)
** 대표기관: 합동·통합전시회의 개최를 위해 각 주최기관의 의견을 종합하는 기관
ㅇ 합동‧통합 전시회의 경우, 아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지원 가능
- 합동‧통합 대상 전시회 중 최소 1건의 전시회가 인증전시회여야 함
- 졸업 대상 전시회도 지원 가능
- 동일 주최기관의 전시회간 합동‧통합은 불가
- 구성 전시회 외 합동‧통합 전시회의 명칭이 별도 존재할 것
□ 지원내용
* 건당 지원수준은 예산규모, 지원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증감될 수 있음
** 모든 유형은 단년도 지원
1. 사업개요
□ 사업목적
ㅇ 해외바이어가 찾아오는 국제 경쟁력을 갖춘 우수한 비수도권 전시회의 육성을 통한 지역 전시산업의 발전
ㅇ 지역전략산업 등과 연계된 전시회 개최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에 효과적인 수출마케팅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경제
활성화에 기여
□ 지원대상
ㅇ ’25년 비수도권*에서 개최예정인 오프라인 또는 온ㆍ오프라인 융합전시회(일부 유형의 경우 한국전시산업진흥회의 ‘국제인증+’ ,
'국제인증' 또는 ‘인증’ 전시회)
* 수도권(서울특별시, 경기도, 인천광역시)을 제외한 지역
□ 지원유형
□ 신청자격
ㅇ 전시산업발전법상 전시주최사업자
□ 신청요건
ㅇ 아래 신청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유형 중 성장단계 상 상위 유형으로 신청 가능, 유형별 중복신청 불가
- 성장단계 : ③ 지역신규무역 → ② 지역유망 → ① 지역글로벌톱
<유형별 세부 신청요건>

□ 지원내용
* 건당 지원수준은 예산규모, 지원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증감될 수 있음
** 모든 지원 유형은 단년도 지원임
※ 추진 절차 및 일정, 심사 분야 등에 관한 안내는 ❹ 공통 사항(9p) 참조
1. 사업개요
□ 사업목적
ㅇ 고부가가치 서비스 상품인 국내 전시회의 해외 진출 지원 및 국내 중소기업 수출 판로 개척
□ 지원대상
ㅇ '25년 국내 전시주최사업자가 해외 전시장을 직접 임차하여 해외에서 개최하는 전시회
□ 신청자격
ㅇ 전시산업발전법상 전시주최사업자
□ 신청요건
□ 지원내용
* 건당 지원수준은 예산규모, 지원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증감될 수 있음
** 단년도 지원임
※ 추진 절차 및 일정, 심사 분야 등에 관한 안내는 ❹ 공통 사항(9p) 참조
1. 신청 및 선정
□ 사업 추진 절차
※ 동 추진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
□ 신청서류
ㅇ 신청서류*는 반환하지 않으며 제출한 개최지원신청서 데이터를 오기재한 경우 신청기관에 사전통보 없이 진흥회가
심사위원에게 정확한 인증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음
*[붙임1]~[붙임8] 참조
ㅇ 신청서류를 기준으로 심사가 진행되며, 신청서류상의 기재 오류·누락, 관련 증명서 미첨부 등으로 인한 불이익은 신청기관
책임임
ㅇ 신청 및 심사과정에서 관련서류에 대한 추가 또는 보완을 요청받을 경우 적극 협조해야 함
ㅇ 지원대상 사업으로 선정된 이후라도 신청 서류의 허위작성 등 심사와 관련된 일체의 부정행위가 적발될 경우 최대
5년간 지원대상에서 제외됨
□ 심사 분야
□ 신청ㆍ접수
ㅇ 신청기간* : 2025년 1월 20일(월)~2025년 2월 5일(수), 18:00
ㅇ 신청방법 : 첨부문서 작성 후 법인인감(또는 직인) 날인ㆍ제출
ㅇ 접수방법 : 제반서류를 진흥회 홈페이지 내 사업신청페이지에 업로드
(http://akei.or.kr/bbs/content.php?co_id=support)
* 우편 및 방문 접수 받지 않음
ㅇ 문의처 : 한국전시산업진흥회 기반구축팀 김정은 과장
(T. 02-574-2021 / eun@akei.or.kr)
2. 유의사항
□ 국고보조금 규모
ㅇ 조정위원회를 통해 예산 범위 내에서 국고보조금 차등 지원
- 단, 전시회 대형화를 위해 합동·통합하는 전시회에 대해서는 글로벌톱 전시회 지원액의 50% 범위 내에서 추가 지원
□ 국고보조금 사용
ㅇ 세부 지원금 사용처 및 비목당 사용비율은 [붙임7] 참조
- 동 공고에 따른 예산항목, 정산요령 등에 대해서는 대상사업 선정 이후 별도 ‘운영규정’으로 공지
ㅇ 국고보조금 지원을 통해 유치한 해외바이어 및 해외업체 DB는 한국전시산업진흥회에 사업결과보고시 함께
제출해야 함
□ 지원금 교부
ㅇ 전시회 개최 전 1차 교부(70%) + 개최 후 2차 교부(30%)
□ 기타 사항
ㅇ (인증) 국고지원 전시회로 선정된 경우, 당해 전시회의 객관적인 수치 확인을 위해 전시회 인증을 신청하고, 검증절차를
거쳐야 함
ㅇ (평가) 국고지원 전시회로 선정된 경우 자동 평가대상이 됨
ㅇ (대상) 인증데이터 기준 참가업체 재참가율과 해외바이어 유치실적 성장도 모두가 최근 3년 이내 성장이 정체된 경우*
지원 대상에서 배제될 수 있음
<전시회 성장도 판단 기준>
ㅇ (가점)* 일자리 창출효과(1점), 사회적 기업(1점), 전시회 인증(1점), 전시산업 전문 자격증 소지(1점), 전시 전문 교육 수강
(2점), 전시부스 권고 단가 활용(2점)
* [붙임 1] 가점 항목 참조, 권고 단가의 경우 글로벌K브랜드 해당없음
[붙임]
1. 신청서류 안내
2. 사업별 신청서
2-1. 전략전시회 신청 가능 산업
3. 국내참가업체 재참가율 계산법
4. 사업계획서 작성요령
5. 서약서
6. 선정기준
7. 세부 지원내용
8. 가점 항목-전시 전문 교육과정(예시)